Contact us now
031.403.8424
031.405.8425

월별 글 보관함: 2019 3월

건물 안에서 내화구조에 대한 지침(9) :내화충전재

출처: https://www.branz.co.nz/cms_show_download.php?id=bf5b5be7855d2df681dde2e948750d10a918bc8c   아래의 그림은 외국의 내화구조 및 내화충전구조 사례입니다.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기 바라며, 국내 내화구조인증 현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내화구조인증 현황: https://www.kict.re.kr/060305/contents_view/pid/36/id/75  2) 내화충전구조인증 현황: https://www.kict.re.kr/060305/contents_index/pid/67   ​13. 벽을 관통하는 내화충전재 ​ [경량구조에서 내화충전재] [프레임 벽 또는 속빈 벽돌과 같은 중공구조에서 내화충전재]     □ 제조업체의 사양에 따릅니다.     □ 데이터 시트, […]

더 보기

건물 안에서 내화구조에 대한 지침(8): 전선관통 내화충전재

출처: https://www.branz.co.nz/cms_show_download.php?id=bf5b5be7855d2df681dde2e948750d10a918bc8c 아래의 그림은 외국의 내화구조 및 내화충전구조 사례입니다.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기 바라며, 국내 내화구조인증 현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내화구조인증 현황: https://www.kict.re.kr/060305/contents_view/pid/36/id/75  2) 내화충전구조인증 현황: https://www.kict.re.kr/060305/contents_index/pid/67 ​ 12. 전기 및 정보선 관통 밀봉 내화충전재 ​   (1) 단일 전선 관통 내화충전재 ​ [경량구조에서 내화충전재]   ​ [프레임 벽 또는 속빈 벽돌과 같은 중공구조에서 […]

더 보기

건물 안에서 내화구조에 대한 지침(7): 엘리베이터, 셔터, 덕트, 방화댐퍼

출처: https://www.branz.co.nz/cms_show_download.php?id=bf5b5be7855d2df681dde2e948750d10a918bc8c   아래의 그림은 외국의 내화구조 및 내화충전구조 사례입니다.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기 바라며, 국내 내화구조인증 현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내화구조인증 현황: https://www.kict.re.kr/060305/contents_view/pid/36/id/75 2) 내화충전구조인증 현황: https://www.kict.re.kr/060305/contents_index/pid/67 6. 엘리베이터(로비)   [로비 엘리베이터] ​     □ 제조업체의 사양에 따릅니다.     □ 데이터 시트, 카탈로그 확보     □ 제조업체가 지정한 프레임     □ 이전의 […]

더 보기

건물 안에서 내화구조에 대한 지침(6): 목조, 석조 벽, 복합벽,중공층 및 방화문

출처: https://www.branz.co.nz/cms_show_download.php?id=bf5b5be7855d2df681dde2e948750d10a918bc8c   아래의 그림은 외국의 내화구조 및 내화충전구조 사례입니다.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기 바라며, 국내 내화구조인증 현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국내 내화구조인증 현황: https://www.kict.re.kr/060305/contents_view/pid/36/id/75  2) 국내 내화충전구조인증 현황: https://www.kict.re.kr/060305/contents_index/pid/67 [내화구조시스템]   1. 목조 프레임(단층 및 다층) 벽의 내화구조 [일반적인 벽 프레임]       □ 제조업체의 사양에 따릅니다.     □ 데이터 시트, 카탈로그 확보 […]

더 보기

건물 안에서 내화구조에 대한 지침(5): 특별한 설치 요구사항

출처: https://www.branz.co.nz/cms_show_download.php?id=bf5b5be7855d2df681dde2e948750d10a918bc8c   6. 특별한 설치 요구사항       내화구조에 대한 각 유형별 설치 절차에 대한 사례가 다음에 나와있습니다. 모든 수동적 내화충전구조(passive fire-stopping) 제품은 시스템으로 시험되고 승인되며, 부정확하고 검증되지 않은 고정장치의 사용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 내화등급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다음 절의 체크리스트는 설치자, 현장관리자 및 승인검사원이 알아야할 주요 설치 요구사항을 나타냅니다. 체크리스트는 내화구조의 […]

더 보기

건물 안에서 내화구조에 대한 지침(4): 현장설치

출처: https://www.branz.co.nz/cms_show_download.php?id=bf5b5be7855d2df681dde2e948750d10a918bc8c   5. 현장설치       디테일과 설치 품질에 주의는 내화구조 기능을 수행하려면 필수적입니다.    1) 설계도서        설계도서가 제공되면 합의된 품질보증 절차에 따라 내화구조를 설치해야합니다. 이는 제조업체의 지침을 포함하여 BCA에 제공되는 모든 지원 정보에 따라 준거합니다. 성능 규격만이 설계도서로 제출된 경우, 내화구조시스템의 선택 및 설치가 NZBC를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BCA와 후속 절차를 […]

더 보기

폐폴리우레탄 폼 재활용

폐폴리우레탄 재활용 ​ 폴리우레탄폼은 1937년 독일에서 상업적인 용도로 개발되어 사용 용도의 다양화로 꾸준하게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폴리우레탄은 1940년대에는 단열재로 상용화되어 에너지절약 소재로, 1950년대 중반에는 연질 폼이 개발되어 자동치 시트나 소파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폴리우레탄 사용의 다양화와 양적 증가는 결국에는 폐기물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과 폐기물의 처리 문제가 수질, 대기, 토양 및 각종 […]

더 보기

건물 안에서 내화구조에 대한 지침(3)

출처: https://www.branz.co.nz/cms_show_download.php?id=bf5b5be7855d2df681dde2e948750d10a918bc8c ​ 4. 참가자 및 역할       내화구조가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지정, 조달, 설치 및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정과 여러 참가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합니다. 설계자는 건물 서비스 실행과 방화구획의 잠재적 침투가 설계 초기 단계에서 식별되고 최소화되도록 참가가 간에 조정을 준비해야합니다. 프로젝트 범위 개발 및 충족되어야 할 요구사항 설정에서부터 동의, 시공, 검사 및 […]

더 보기

건물 안에서 수동적인 화재예방(내화충전재)에 대한 지침(2)

출처: https://www.branz.co.nz/cms_show_download.php?id=bf5b5be7855d2df681dde2e948750d10a918bc8c   3. 뉴질랜드 건축법 및 요구사항       건물 내에서 화재예방을 위한 최소한의 요구사항은 NZBC가 제공합니다. NZBC는 필수 성능 요구사항과 성능을 기초로 합니다. 건물이 새로운 건물이든, 기존 건물이든, 보수공사이든 상관없이 NZBC의 요구사항은 건축법을 통해 충족되어야 합니다. NZBC 요건을 충족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용 가능한 해결책 준수     □ 검증 방법 […]

더 보기

건물 안에서 수동적인 화재예방(내화충전재)에 대한 지침(1)

출처: https://www.branz.co.nz/cms_show_download.php?id=bf5b5be7855d2df681dde2e948750d10a918bc8c   건물 안에서 수동적인 화재예방(내화충전재)에 대한 지침   목차   1. 서론 2. 수동적 화재예방(내화충전재)란? 3. 뉴질랜드 건축법 및 요구사항  1) 건물 건축물의 내화성 결정  2) 내화등급  3) 내화구조승인  4) 기존 건물의 변경 4. 참가자 및 역할  1) 설계자/건축가/기술자  2) 감리  3) 프로젝트 매니저/계약자/설치자  4) 독립적인 자격을 갖춘 사람  5) 제3자 검사원  6)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