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now
031.403.8424
031.405.8425

준불연 경질우레탄폼단열재의 다양한 면이 단열 건물의 벽 코너를 통한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4)

출처: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0807704_The_Influence_of_Different_Facings_of_Polyisocyanurate_Boards_on_Heat_Transfer_through_the_Wall_Corners_of_Insulated_Buildings

2) 열 차단 시편을 통한 열 전달의 실험적 측정 결과

 

 

    면의 일부가 열 흐름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열교를 만들 때 알루미늄 호일 면과 다층 알루미늄 호일이 있는 연속 PIR 단열재와 회전된 삽입체가 있는 동인한 보드의 실험 측정 결과가 [3]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3 [실험 측정 결과]

    [3]에서 열 저항은 알루임늄 호일과 다층 알루미늄 표면을 가진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샘플 모두에서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이 더 열전도성 물질이기 때문에 알루미늄 표면을 가진 샘플의 내열성은 약간 더 높습니다. 따라서 열 흐름에 수직으로 더 강렬한 열 전파가 발생하여 측면 열 손실이 발생하고 측정 정확도가 감소합니다. 그러나 이 측정인 비교적이었습니다. 얻은 열 저항의 차이는 실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회전된 삽입물, 즉 서로 다른 면에서 형성된 열교를 사용하는 샘플의 측정된 등가 열 저항은 서로 다르며 연속 샘플과 다릅니다. 알루미늄 표면 시편의 측정된 열 저항은 열교가 형성된 동일한 시편의 등가 열 저항보다 약 2배 더 컸고, 이러한 다층 알루미늄 표면의 열 저항 차이는 약 33%였습니다. 알루미늄 호일로 형성된 열교가 있는 시편의 등가 열 저항은 다층 알루미늄 표면으로 만들어진 삽입이 있는 시편보다 약 20% 낮습니다. 두 시편의 열교의 열전달 값을 비교하면 알루미늄 외장의 경우 이 값이 거의 두 배가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토론 및 결론

 

    수치 실험 및 실험 측정의 결과는 알루미늄을 향한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로 단열된 벽 코너에서 상당한 열 손실이 발생했음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구조의 선형 열교의 열관류율을 계산할 때 고려해야합니다. 수치 실험 결과는 열관류율 값이 0.15W/m²K(각 벽당 1m)인 벽 조인트를 통한 열 흐름이 벽 높이 1m0.484W임을 보여주었습니다. 중형 단독 주택의 경우 연간 3~4kWh/m²에 달했습니다. 실험 측정은 또한ㅁ 삽입 영역이 샘플 측정 영역의 약 0.1%에 불과했지만 알루미늄 호일 삽입이 100mm 두께의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의 열 저항을 두 번 감소시켰음을 분명히 보여주었습니다.

 

    알루미늄 호일 외장이 아닌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로 단열된 벽 코너 조인트의 수치 실험은 벽 조인트를 통한 열 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테스트된 벽과 이러한 면을 연결하는 열 흐름은 0.001W를 초과하지 않았으므로 건물의 열 손실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습니다.

 

    알루미늄을 향한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로 단열된 모델링된 벽 코너를 통한 열 전달 분석, 코너를 만드는 두 단열재 사이의 접촉에 따른 열 전달의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수치 실험은 두 가지 경우에 알루미늄 호일을 마주보는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로 단열된 벽 코너에 대해 수행되었습니다. 단열재 사이의 접촉 조인트에 PU 접착제를 사용하고[그림4a] 조인트에 PU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경우, 연경 단열재 중 하나의 외부 및 내부 알루미늄 면은 다른 단열재의 접촉 표면의 알루미늄 면에 의해 결합되었습니다. PU 접착제를 사용한 구조에 대한 열 결합 계수 값 L2D0.2834 W/m·K이고, PU 접착제가 없는 구조의 경우 0.2948W/m·K였습니다. 이것은 조인트를 통한 열흐름에서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의 표면 사이에 접착제 층을 사용하여 접촉을 끊는 효과가 벽 조인트 높이 1m 당 약 0.23W임을 의미합니다.

 

    시편의 상단 및 하단 표면은 회전된 열전도성 삽입의 표면에 의해 결합되었으며, 시편은 열 유량계 장치에서 측정되었습니다. 수치 실험 결과 벽 코너를 통한 열전달에 대한 이면의 최소 영향을 보여주었지만, 연속 시편과 시편을 회전된 삽입물과 다층 알루미늄 면과 비교했을 때 예상치 않게 33%의 열 저항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열 유량계 장치의 상단 및 하단 측정 플레이트를 향하는 회전된 삽입의 접촉으로 인해 열 유량계의 셀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치 모델링 및 실험 측정의 결과를 요약하면 두 개의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를 알루미늄 외장과 결합하는 데 사용된 PU 접착제 층이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조인트를 통한 열 전달이 증가했으며, PU 접착제는 PIR 코어보다 높았으며, 반면에 PU는 한 단열재의 면이 다른 단열재의 내부 및 외부 면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벽 코너 조인트를 통한 전체 열 전달을 줄였습니다. 따라서 실험 측정 결과만으로 내부 및 외부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의 알루미늄 표면 사이에 열흐름 방향으로 조인트를 형성하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판단할 수 있었습니다.

 

    이 연구는 벽 코너에 알루미늄을 향한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조건을 정의할 만큼 광범위하고 상세하지 않았습니다. 알루미늄 외장이 있는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단열재의 영향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외장이 제거된 후 가스 확산으로 인해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PIR 코어의 열전도율이 증가할 때 외장이 제거된 PIR 단열재의 코너를 통한 열 전달이 작동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추가 연구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준불연 경질우레탄폼 단열재 생산]

()패널총판 바로가기 >>
()패널테크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