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골 건축에서 에너지 및 열 개선(12)
출처: https://constructalia.arcelormittal.com/files/KINA26010ENN_002—aadd4dee607cb8b70e8bac8ff70618a1.pdf 3. 향상된 열 쾌적성을 위한 혁신적 기술 1) 서론 과거에는 경량 철골 구조는 여름 동안 특별히 쾌적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았습니다. 과열은 점점 더 중요한 문제이며, 냉각에 대한 에너지 수요는 에너지성능의 계산을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합니다. EPBD 설명서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습니다. “우선할 것은 여름 기간 동안 건물의 열성능을 높이기 위한 계획에 […]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단열재와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운영규정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단열재와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운영규정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운영규정 제7조(인증평가 및 세부기준)②항에 따르면 일반 및 준불연 저방사(열반사)단열재가 사용되는 경우 “벽·바닥·지붕 등의 열관류율은 구성재료의 열전도율 값으로 계산하며, 창 및 문의 열관류율은 설계기준 별표4를 따른다. 단, KS F 2277 및 KS F 2278에 따른 시험성적서의 값을 인정받으려 할 경우 2개 이상의 국가공인시험기관의 KOLAS 인정마크가 표시된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로이단열재 및 PF보드 단열재 제안서(김포 교회현장)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로이단열재 및 PF보드 단열재 제안서(김포 교회현장) 김포 교회현장 경질우레탄폼단열재를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로이단열재 또는 PF보드 제안서입니다.요청은 외벽 평균열관류율 0.468입니다. [이 자료는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고, 진행시 관련 업체 및 관련기관과 반드시 협의/확인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Ⅰ. 단열재 변경 사항 1. W1: 외벽(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단열재 종류 두께(mm) 열전도율 (W/m·K) 열저항 (m2·K/W) […]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로이단열재 제안서(영종도현장)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로이단열재 제안서(영종도현장) 영종도현장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로이단열재 제안서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건축법 시행령 제61조(건축물의 마감재료)에서 건축물 외벽 마감재료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단열재, 도장 등)를 사용해야 하는 건축물은 ① 바닥면적의 합계가 2천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② 6층 이상인 건축물 ③ 22m 이상인 건축물 관련 법규: ① 건축법 시행령 제61조(건축물의 마감재료) ②항 ②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
준불연 저방사(열반사)단열재 제안서(김포 마산동현장)
준불연 저방사(열반사)단열재 제안서(김포 마산동현장) 건축법 시행령 제61조(건축물의 마감재료)에서 건축물 외벽 마감재료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단열재, 도장 등)를 사용해야 하는 건축물은 크게 구분하면 ① 바닥면적의 합계가 2천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② 6층 이상인 건축물 ③ 22m 이상인 건축물입니다. 김포 마산동현장단열재(준불연재료)를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로이단열재 제안서를 제출하였습니다. 1. 마감재: 화강석 30mm 2. 단열재: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로이단열재 60mm 준불연 […]
미네랄울단열재 적용가이드(1)
미네랄울단열재 적용가이드(1) 외국 미네랄울단열재의 건축물 위치별 사용 방법에 관한 자료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s://www.rgbltd.co.uk/media/content/files/Manufacturers/rockwool-product-application-guide.pdf 1. 소개 1) 락울 그룹 락울(Rockwool)은 세계 최대의 단열재 제조·생산업체 중 하나로, 건물 전체에 지속 가능한 단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합니다. 락울(Rockwool)단열재는 실외든 인접한 룸에서든 상관없이 추위, 열기, 화재 및 소음의 위험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합니다. 2) 락울(Rockwool) 단열재 제작 방법 락울(Rockwool) […]
준불연 저방사(열반사)단열재 시공 및 주의사항
준불연 저방사(열반사)단열재 시공 및 주의사항 준불연단열재는 “건축물의 피난 ·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이 개정되면서 6층 이상 22m 이상 건축물에서는 외벽에 단열재는 외벽 마감재료를 구성하는 재료 전체를 하나로 보아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단열재에 해당하는 경우 마감재 중 단열재는 난연재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준불연 저방사(열반사)단열재 시공 현장입니다. 1. 현장명 마산동 신유종건 2. 단열 부위 […]
저방사(열반사) 단열재 적용시 주의사항
저방사(열반사) 단열재 적용시 주의사항 최근 준불연 저방사(열반사)단열재는 “건축물의 피난 ·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이 개정되면서 6층 이상 22m 이상 건축물 외벽에 많이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준불연 저방사(열반사) 단열재 사용시 반드시 주의할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해당 부위 구조체의 구성 재료, 공기층 및 두께의 확인 ① 준불연 저방사(열반사)단열재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6조1호 다목의 2)에 […]
주거용 천정(다락방)을 위한 열반사단열재와 저방사단열재(6)- 강도시험
주거용 천정(다락방)을 위한 열반사단열재와 저방사단열재(6)- 강도시험 출처: http://www.energyattic.com/wp-content/uploads/2016/09/Buyers-Guide-to-Radiant-Barrier.pdf 6. 강도시험(Strength Testing) 통기성에 대한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필요한 강도는 단열재의 적용에 따라 달라집니다. 천정 바닥의 단열재로 저방사단열재 및 열반사단열재를 설치하거나 지하층 아래에 설치하는 경우 강도가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좁은 공간의 지붕이나 장선을 가로지르는 트러스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스테이플(와셔와 못)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
주거용 천정(다락방)을 위한 열반사단열재와 저방사 단열재(5)
주거용 천정(다락방)을 위한 열반사단열재와 저방사 단열재(5) 5. 통기성시험(Breathability Testing) 출처: http://www.energyattic.com/wp-content/uploads/2016/09/Buyers-Guide-to-Radiant-Barrier.pdf 방사단열재와 열반사단열재는 밀폐된 좁은 공간 및 지하실 또는 추운 기후의 건식 벽체와 같은 증기 차단 또는 증기 지연재로 사용되는 경우가 확실하지만, 주거용 방사단열재 및 열반사단열재 용도의 주된 설치는 따뜻한 기후의 환기구가 있는 공간입니다. 천정 바닥의 단열재와 같이 설치하거나 지붕 데크의 아래쪽 […]